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

상냥한 폭력의 시대

by 글쓰남 2016. 10. 15.
반응형
상냥한 폭력의 시대 - 10점
정이현 지음/문학과지성사


별 악의도 열의도 없이 ‘모멸 권하는 사회’


입주자 전용 엘리베이터가 여섯 대 운행되고 있지만 직원들은 탈 수 없었다. 입주자들과 마주치면 불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언젠가 본부장이 전체 회의에서 그것을 재차 강조했을 때 나는 불쾌감이란 단어를 혐오감으로 대체해보았다.

―「미스조와 거북이와 나」에서


인간 개인의 내면 그리고 사회에는 스스로 알아차리지 못하는 심연이 있다. 

―김찬호, 『모멸감』(문학과지성사, 2014)에서 


정이현이 포착한 ‘오늘’은 친절한 표정으로 무심하게 모멸감을 주고받는 사람들의 시대다. 이 ‘세련된 폭력’은 조금씩 모습을 바꿔가며 소설에 등장한다. “인격을 비하하거나 비아냥거리는 태도를 취한 적은 없”지만 오히려 “타인에게 아무 태도도 취하지 않음으로써 태도를 완성시”키고 “번번이 타인을 불쾌하게 만드”는 원로 정치인 ‘박’(「밤의 대관람차」)이나, 늘 “돼지”라고 괴롭힘을 당해왔으나 새로 전학 간 학교에서 놀림거리조차 되지 못하는 리에에게 말 한마디 걸어오지 않는 K국의 아이들(「영영, 여름」)처럼, 세대부터 국적까지 상이한 이들의 공통점은 다른 사람들에게 무심코 일상적인 모멸을 가한다는 것이다.

사랑하는 사이에도 ‘상냥한 폭력’은 빈번히 발생한다. 사랑은 때로 상대가 “제멋대로 나를 침범하고 휘젓는 것을 묵묵히 견디게” 한다. 「미스조와 거북이와 나」에서 아버지는 몇 년간 함께 산 연인 ‘미스조’를 동네 밖 친척이나 친구들에게 소개시킨 적이 없다. 「밤의 대관람차」에서 이별을 고하던 남자의 과한 눈물은 어쩌면 어린 연인을 “완벽하게 설득시키고 꼼짝없이 이별을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위선이었을 것이다. 

가족 간에도 마찬가지다. 미숙아를 갓 낳은 고등학생 딸 ‘보미’가 “의무와 책임에 대해, 매일 하는 일의 귀중함에 대해 배워가야 한다”고 믿으면서도, 엄마 ‘지원’ 자신은 보미가 낳은 아기를 무책임하게 방치한다. 그 아기가 죽을 위기에 처하자 설레듯 가슴이 뛰는 지원은 무섭도록 보미를 사랑하는 게 확실하지만, 아무래도 딸이 원하는 방식은 아닌 듯하다(「아무것도 아닌 것」). 




한편, 「안나」의 ‘경’은 지속적으로(그러나 역시 자각하지 못한 채) 주변 사람들에게 상처를 준다. 고연봉자 남편을 만나 절실할 필요 없이 살아가는 사십대 전업주부인 그녀에게는 영어유치원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입을 열지 않는 아이가 가장 큰 근심거리다. 과거에 댄스 동호회를 함께하다 학부모와 영어 유치원 보조 교사로 다시 만난 ‘안나’를 잠시 의지하지만, 경이 안나와 친하게 지낸 이유는 “현실을 잊을 수 있”을 만큼, 신경 쓸 필요 없는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안나와 만날 때면 경은 어울리는 옷과 가방을 매치하기 위해 거울 앞에서 한참 시간을 보내지 않아도 되었고 자신이 가자고 제안한 식당이 유행에 뒤처지는 곳이거나 맛이 없는 곳이라 상대가 실망할까 봐 마음 쓰지 않아도 되었다.” 항상 괜찮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안나는 경에게 ‘좋은’ 사람이라기보다 ‘쉬운’ 사람이었던 것 같다. 과거 안나가 댄스 동호회에서 빛을 발할 적에도 “박수를 받을 일이 나이뿐이라” “안됐다”며, 자신의 열등감을 비틀어 상대를 멸시하기 바빴던 경은 ‘상냥한 폭력’의 살아 있는 표본이라 할 만하다. 

동시에, 경은 그간 정이현의 소설에서 빈번하게 등장해온 속물형 인간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이현의 지난 소설집들에서 등장하는 위악적인 인물형이 왜곡된 세상을 보여주는 거울로써 기능했다면, 이번 소설집에서의 ‘비틀린’ 사람들은 대개 위악적이기보다 위선적이다. 이 위선은 또한 “위장술”이라기보다 “호신술”에 가깝다. 그들이 드러내는 추문은 경우에 따라 나의 얼굴에 슨 녹과 닮아 있어서 통쾌하기보다 한탄을 자아내곤 한다. 그들은 다만, “최대한 극적인 일 없이 살고 싶”(백지은)을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