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

내일을 위한 역사학 강의 - 21세기, 역사학의 길을 묻다

by 글쓰남 2018. 5. 28.
반응형
내일을 위한 역사학 강의 - 10점
김기봉 지음/문학과지성사

종래의 인류 문명사가 지식과 정보를 기억하는 것에 토대를 두고 전개됐다면, 빅데이터의 출현은 최초로 ‘기억’보다 ‘망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역사학이 사라진 과거를 기억하기 위해 문자 기록을 남기는 것으로 성립한 학문이라면, 이런 인식의 전환은 앞으로 “역사학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정체성과 기능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또한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 결과(4:1)는 인공지능 시대를 예고하며,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적 능력을 초월하는 ‘기술적 특이점’이 실제 도래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과학기술이 창조한 ‘포스트휴먼’의 출현으로 현생 인류 종의 종말까지 언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역사학과 인문학 위기를 넘어 인류의 앞날은 어디를 향할 것인가?

역사학을 학문의 틀에 가두지 않고 그 경계를 넘어 사극, 역사소설 등 대중 역사문화 전반을 아우르며 활발히 역사비평 작업을 해온 역사학자 김기봉의 『내일을 위한 역사학 강의―21세기, 역사학의 길을 묻다』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역사학은 “우리는 어디서 왔고, 누구며, 어디로 가는가”라는, “인류의 과거, 현재, 미래에 관해 묻는 ‘인문학 3문三問’을 가장 직접적으로 다루는” 학문이다. 이 책은 이 질문의 답을 탐구하며 인간 삶에 대한 성찰을 멈추지 않아 온 저자의 그간의 작업들과 연장선상에 있다. 이 책이 더욱 특별한 이유는 역사를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급변하는 오늘의 디지털 환경과 연관 지어 시사점을 던지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각과 삶, 일을 비롯한 모든 측면에서 혁명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알파고를 창조한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허사비스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현재 알파고의 인력 대부분이 (보통의 인간처럼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하는) 범용 인공지능 개발에 매달리고 있”으며, “2년 내로 구체적인 성과”가 나와 “10년 뒤면 이런 인공지능의 활용이 인간 사회에서 아주 일반적인 일”이 되리라 예상했다. 

역사학과 인문학은 이러한 변화의 직격탄을 맞았다.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은 과거의 사실을 탐구하는 “데이터 학문”인 역사학의 기반을 뒤흔들며 위기를 초래했다. 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을 오래전부터 주시해온 저자는 이 책을 통해, E. H.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로 대변되는 “어제의 역사학”의 그늘에서 벗어나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시대에 걸맞은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며, 역사와 역사학의 향방을 그려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