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

개는 개고 사람은 사람이다 - 나의 개를 더 알고, 제대로 사랑하기 위한 개념 인문학

by 글쓰남 2017. 8. 16.
반응형
개는 개고 사람은 사람이다 - 10점
이웅종 지음/쌤앤파커스

언제부터인가 개들이 ‘옷’을 입고 다니기 시작했다. “개가 추울까 봐서…” 개는 태어날 때부터 ‘털’이 있다. 인간보다 훨씬 더 추위를 이겨낼 수 있도록 진화했다. 게다가 땀샘도 거의 없다. “개도 화려한 옷을 좋아할 거예요.” 유감스럽게도 개는 색맹이다. 화려한 색상의 옷을 입혀도 개는 이를 느끼지 못한다. 결정적으로 옷을 입혀도 개는 스스로 제 옷을 보지 못한다. 개의 시야각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빠르다. 인간은 직립보행을 함으로써 목을 자유자재로 돌릴 수 있기에 뒷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체를 자기 눈으로 볼 수 있지

만, 개의 경우는 자신의 앞을 보도록 특화돼 있다. 이 모든 걸 종합해보면 이런 결론에 다다른다. ‘사람의 욕심 때문에 옷을 입히는 건 아닐까.’ _본문 p. 60



반려견 400만 마리, 반려인 1,000만 시대. 우리 사회에서 반려견(伴侶犬)이라는 말이 애완견

(愛玩犬)이라는 말을 몰아내고, 인생을 함께하는 개를 의미하는 단어가 된 지 오래다. 그러나 한편으로 반려(伴侶)의 본질을 이해하고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걸까? 우리는 개에게 짝이 되는 벗이며, 동반자이며, 반려자인가? 이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몇 안 될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반려견 문화는 반려의 의미보다 여전히 애완의 의미에 더 가까운 모습이 아닐까.


누군가 “인간을 위한 개가 뭐 어때서?”라고 질문할 수 있다. 전혀 틀린 말은 아니다. 결국 인간의 행복감을 위해 개를 키우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러나 개가 개로서 온전히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사람이 만들어낸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개는 불행해질 테고, 그 개와 함께 살아야 하는 사람도 힘들어진다. 여기에서 ‘애완’이라는 의미에 한계가 생긴다. ‘인간을 위한 개’로서 역할을 하지 못할 때면, 사랑이 식어버릴 때면 언제든 버려도 된다는 논리가 가능하다. 우리 주변에 일어나는 유기견 문제도 사실 모두 여기에서 시작한다. 이 책의 시작이자 목적도 바로 이 지점이다. 명백히 인간과 다른 종으로서 개를 바라보고, 인간의 공간에 함께 살아야 하는 불완전한 존재로 이해할 때, 반려견을 더 알고 제대로 사랑할 수 있으며, 개와 사람이 오래도록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