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

검은 개가 온다 - 송시우

by 글쓰남 2018. 8. 1.
반응형
검은 개가 온다 - 10점
송시우 지음/시공사

2018년 독자들을 사로잡을 단 한 권의 책!

한국 장르문학계가 주목하는 송시우의 최신작


2014년 장편소설 《라일락 붉게 피던 집》이 출간되면서 송시우라는 ‘대형 신인 작가’가 탄생했다. 첫 단행본이 출간되자마자 영상화 제작이 확정되었고, 당시 추리소설로는 드물게 세종도서 문학 나눔에 선정되었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하는 본인의 경험을 토대로 2015년 인권위 조사관의 활약을 그린 연작 중단편집 《달리는 조사관》은 서울도서관의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도서로 선정되는 등 장르소설로서의 오락성뿐만 아니라 작품성까지 인정받았다. 모든 출간작의 영상화 계약이 완료되는 기록을 보여주며 한국 장르문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송시우 작가의 최신작 《검은 개가 온다》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이다. 

《검은 개가 온다》는 우울증이나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이 의지의 문제가 아닌, 심신의 고통과 사회적 기능 손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검은 개’로 은유되는 우울증은 이미 현대사회의 고질적인 문제가 된 지 오래이며, 현대 한국인의 우울과 불안은 사회 곳곳에서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작가는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사회의 편견, 우울증을 약물로 치료하는 것에 대한 상반된 입장, 그로 인해 야기되는 혼란 등 정신질환 문제를 두 건의 살인 사건을 통해 다각도로 풀어낸다. 또한 타자로 분류되는 우울증 환자가 나와 결코 다른 존재가 아님을 역설한다. 철저한 감수를 거친 사실적인 설정은 독자들이 미처 알지 못했던 내 주변인, 혹은 가족의 가면 뒤에 숨겨진 진짜 얼굴에 관심을 갖게 할 것이다.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는 사람들

평생 ‘검은 개’에 쫓기며 끝없는 터널을 달음질해가다


“죽음이 얼마나 달콤한 결론이야. 삶과 죽음을 가르는 경계에 근접해서 저편으로 살짝 넘어가기만 하면 돼. 그러면 더 이상 실망하거나 버림받을 일도 없고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아무것도 느끼지 않아도 된다고. 앞으로도 계속 불행할 게 뻔한데 왜 사는 거지?” -본문 중에서 


평소 우울증을 앓으며 어디론가 사라지고 싶다던 여대생이 산속에 묻힌 채 반백골로 발견된다. 비슷한 시기, 평범한 회사원이 조퇴를 하고 일찍 귀가하던 길에 빌라 계단에서 우연히 부딪친 이웃을 그야말로 죽을 때까지 때렸다. 범행이 일어난 시간도, 장소도, 범인도 모두 다른 두 사건을 유일하게 잇는 인물이 있다. 바로 ‘항우울제를 반대하는 모임’ AAD 사무실을 운영하는 반탁신이다. 평소 우울증을 겪고 있던 전학수는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된 반탁신에게 항우울제 음모론에 대해 듣고, 조언에 따라 약을 끊은 지 17일 만에 이웃을 잔혹하게 살해하는 범행을 저질렀음이 밝혀진다. 한편 작은아버지를 도와 전학수 사건을 조사 중이던 대학원생 박심은 반탁신을 만나러 간 자리에서 우연히 고등학교 동창과 마주친다. 동창과 대화를 나누던 중, 시체로 발견된 여대생이 속했던 우울증 환우 모임 ‘공탈’을 알게 된다. 

항우울제 없이도 우울증을 이겨낼 수 있다고 믿는 ‘공탈’의 회원은 총 5명. 아들이 우울증 진단을 받고 항우울제를 복용하다 그 부작용으로 자살했다고 믿는 반탁신을 중심으로 죽은 설리사의 일거수일투족을 챙겨주던 박이음, 모임을 통해 새로운 삶의 의지를 다져나가는 임나민, 반탁신을 도와 사무실에서 잡무를 보는 취업준비생 김열이다. 경찰이 설리사를 죽인 범인을 ‘공탈’ 회원들로 한정하며 수사망을 좁혀오자, 우울증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한 전 회원 조노훈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공탈’은 점차 수면 위로 떠오른다. 

로스쿨 학생과 노련한 강력계 형사가 각기 다른 사건에서 출발하여 같은 진실을 쫓는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은 우울과 불안이 넘쳐나는 데도 이를 방치하는 사회 분위기,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다양하고 복잡한 태도, 실제로 병을 겪는 환자의 고통에 공감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병의 유무와 관계없이 인간 본연에 존재하는 악의에 대해서 말하고자 하는 《검은 개가 온다》는 평생 ‘검은 개’에 쫓기며 끝없는 터널로 달음질해가는 사람들과, 그들을 묵인함으로써 세상과 격리될 수밖에 없는 사회의 부조리를 담은 수작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