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

코로나로 아이들이 잃은 것들 - 우리가 놓치고 있던 아이들 마음 보고서

by 글쓰남 2020. 11. 15.
반응형
코로나로 아이들이 잃은 것들 - 10점
김현수 지음/덴스토리(Denstory)

"우리가 잃은 가장 중요한 것은 관계입니다"
코로나 때문에 모두가 힘든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아니, 어른들이 힘들면 아이들은 더 힘든 법. 그러나 어른들은 아이들의 학력 문제만 걱정할 뿐이다. 코로나로 인한 휴교, 외출 금지 등으로 아이들의 마음은 몹시 흔들리고 있다. 아이들이 중요한 것을 모두 잃기 전에, 그래서 '떨어지기 전에 붙잡아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우선 그들에게 물어야 한다. "코로나 때문에 힘든 것은 없니?"라고. '서울시 코비드19 심리지원단' 단장인 저자가 코로나 시대를 견뎌내고 있는 우리 아이들의 외로움과 두려움을 세밀하게 포착했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힘들다
코로나로 인해 우리 삶에 큰 변화가 생겼다. 6.25이후 이렇게 장기간 학교의 문이 닫힌 적도 없었고, 국민 대다수가 매일매일 질병관리청의 브리핑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지낸 적도 없었다. 코로나는 아이들의 마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우울·무기력감·외로움·소외감을 호소하거나 자해·자살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힘든 것이 있느냐"고 묻는 어른은 드물다. 오히려 "도대체 집에서 놀기만 하고 게임만 했지, 한 것이 없다"고 질책한다. '서울시 코비드19 심리지원단' 단장이자 오랫동안 청소년들의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과 함께해온 저자는 "1학기부터 이어진 사회적 거리 두기의 영향이 가장 크게 미치는 세대는 10대일 것"이라며, 지난 8개월동안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접하게 된 아이들의 어려움과 두려움을 세밀하게 포착해냈다.

저자는 아이들이 코로나로 받은 상처 5가지를 꼽는다. 우선 학교를 가지 못하게 되면서 겪게 된 '단절의 트라우마'다. 아이들에게 진급은 성장의 의미이고, 새로운 출발이다. 그러나 올해 아이들은 학교에서 새로운 소속감이나 정체성을 거의 경험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새로운 친구가 생기지 않는 것에 대해 불안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많은 어른들이 아이들의 '친구 못 만나는 어려움', '학급 또래 활동에 대한 그리움'에 대해 "친구가 밥 먹여주느냐"와 같은 폭언을 퍼부었다. 형제가 없거나 기껏해야 한두 명인 요즘 아이들에게 친구는 가족과 같은 의미인데도 말이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아이들은 또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더더욱 그렇다. 아이들에게는 '부모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아이러니하게도 올해의 경험을 통해 아이들은 "친구, 반, 학교가 어떤 의미인가를 생각하게 되었다고"들 말한다.
'규칙 트라우마'는 집에서 부모님과 오랜 시간을 붙어 지내면서 듣게 되는 잔소리, 재채기조차 눈치 보며 해야하는 긴장된 사회 분위기 등 금지와 지시, 통제에 기반한 생활에 대한 어려움에서 비롯된다. 학교를 가지 않게 되면서 아이들은 '일상 유지 트라우마'도 겪어야 했다. 어른들은 최대한 규칙적으로 생활을 해나가야 한다"고 말하지만, 아이들 입장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불규칙하고 비정상적인 생활 자체가 벅찬데, 어떻게 규칙적으로 지내란 말인가! 아이들은 또한 '학교를 안 가는 동안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는 부모들의 비난에 '결손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 그래도 잘 버텼고 노력했고 또 그사이에 깨닫고 생각하게 된 것도 많은데, 별로 한 것이 없다고 하니 허탈한 것이다. "실컷 놀기라도 했으면 억울하지나 않겠다"는 것이 아이들의 솔직한 심정이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아이들이 부모님과 가장 많이 부딪친 문제는 다른 아닌 스마트폰 이슈였다. 부모님들은 스마트폰 노이로제에 걸렸고, 청소년들은 부모님 잔소리 노이로제에 걸려서 자주 다툰 것. 스마트폰을 실컷 하고 싶어하는 아이들은 많지 않다. 단지 조절이 되지 않을 뿐.

그러나 어른들은 아이들의 상처에 무관심했다. 코로나에 대해 진행된 수많은 담론, 정책들은 오로지 '성인 위주'로 진행되었고, 아이들의 불안, 걱정, 우울 같은 어려움은 제쳐둔 채 오로지 '학력이 뒤처지는 것'만을 걱정했다. 또한 학생은 감염 예방을 위한 '통제의 대상'이었을 뿐이며, 이들에 대한 돌봄은 그저 '부담'이라는 관점에서만 다뤄지곤 했다.

물론 교사와 부모들도 힘든 시간을 보냈다. 교사들은 업무와 혼란, 비난의 과잉에서 힘들어했고, 부모들은 걱정과 잔소리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아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 지 알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이 어려운 시대를 아이들과 함께 잘 헤쳐나가려는 교사와 부모라면, 이 책에서 큰 위로와 격려, 그리고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