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인 학문으로서 한국의 여성사 연구는 1960년대에 나타나기 시작해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되면서 가족과 혼인 등의 연구를 통해 여성의 역사가 조금씩 드러났다. 그리고 2004년 한국여성사학회 창립과 2007년 전국역사학대회 자유패널 참여 이후 여성사는 역사학 내의 한 분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 주제나 방법론도 발전하면서 일상생활사나 신문화사 혹은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살펴보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 여성사 연구의 성과를 총제적으로 종합함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흐름을 정리하고 새로운 방법론 모색과 사료 발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의 여성사 연구를 고대, 고려, 조선, 근대, 현대로 시대를 나누고, 중국, 일본, 미국 등 해외에서의 연구 동향까지 망라하였다. 또한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을 1945~1970년대, 1980~1990년대, 2000~2013년으로 나눈 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가족으로 주제를 나누어 논문, 단행본 등의 모든 연구 성과를 평가하였다. 아직까지 한국 여성사 연구는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과거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여는 연구 방향의 설정과 새로운 주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총론 _ 한국 여성사 연구의 동향
한국의 여성사 연구 동향
1. 고대 여성사 연구 동향
2. 고려시대 여성사 연구 동향
3. 조선시대 여성사 연구 동향
4. 근대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
5. 현대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
해외의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
1. 중국의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
2. 일본의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
3. 미국의 한국 여성사 연구 동향
결론 _ 역사 재구성과 여성사 연구 과제
'국내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유럽에서 보낸 여름방학 (0) | 2017.06.15 |
---|---|
의식의 기원 - 옛 인류는 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었다 (0) | 2017.06.14 |
몸의 라인이 살아나는 주스 & 스무디 - 몸과 마음을 깨우는 비타민 한 잔 (0) | 2017.06.14 |
따뜻하고 단단한 훈육 - 소리지르고 후회하고, 화내고 마음 아픈 육아는 이제 그만! (0) | 2017.06.13 |
구글 맵, 새로운 세계의 탄생 - 지도는 어떻게 인류를 변화시키는가 (0) | 2017.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