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폭력과 존엄 사이 - 은유 지음, 지금여기에 기획/오월의봄 |
간첩 조작 사건은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문제인 동시에 삶의 심층에 맞닿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 말은 정치적 차원과 분리된 개인의 삶 같은 것이 존재한다는 말이 아니라, 사건이 정치적으로나 법적으로 ‘해결’된다고 할지라도 당사자에게는 결코 ‘해소’되지 않는 지점이 남겨진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이 법적인 절차를 통해 자신의 무고함과 억울함을 밝힌다고 해도, 간첩으로 몰려 살아온 지난 시간들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남는다. 이는 근본적으로 보상이 불가능한 시간이다. 《폭력과 존엄 사이》는 그 간극을 마주하고자 한다. 간첩사건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이야기할 수 있을지 몰라도 정작 그 사람들과 그들의 삶에 대해서는 도대체 무엇을 말할 수 있는지.
“2016년 초 인터뷰집 발간 제안이 들어왔을 때 난 정중히 거절했다. 간첩 조작 사건 피해자란 존재가 너무 낯설었다. 그간 살면서 직간접적으로 접점이 없었기에 아무런 상이 잡히지 않았다. 내게 간첩 조작 사건이란 군부독재 시대를 휩쓴 광풍으로, 현대사 역사책에 누워 있는 단어일 뿐이었다. 그런데 인터뷰 작업이 국가폭력에 초점을 맞추는 게 아니라 피해자의 사는 이야기, 즉 삶의 질곡을 견디며 살아온 일상 그리고 끝내 무죄를 밝혀내고 존엄을 회복하는 이야기를 담는다는 것, 그리하여 몹시도 팍팍한 현실을 살아가는 젊은 세대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고 싶다는 기획 의도를 듣고 조심스레 용기를 냈다.” (서문, p.15~16)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 책은 무엇을 말하기보다 ‘듣기를’ 자처한다. 기본적으로는 르포르타주의 범주에 들어가지만, 좀 더 정직히 말해 이 책은 ‘듣는 작업’에 해당한다. 말하고자 했던, 즉 자신의 말이 누군가에게 들릴 수 있기를 오랫동안 바라왔던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작업 말이다. 국가가 지급하는 형사보상금과 위자료로도 보상될 수 없고 돌이킬 수도 없는 ‘시간’. 어떤 면에서 그들이 가장 희망했던 것은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보상이라기보다 자신들이 ‘말할 권리’, 그리고 그 말이 많은 사람들에게 있는 그대로 ‘들릴 권리’였는지 모른다.
“말을 할 수 있다는 게 너무 좋은 거예요. 말을 하니 들어주는 사람도 있고 그걸로 책을 쓰려는 사람도 있고 우리를 이렇게 이해하는 사람도 있다, 암울하게만 살았는데 힘이 나더라고요” (김순자, p.41)
실제로 그들이 겪은 고통 중 그들을 가장 괴롭게 한 것은 고문으로 인한 육체적 고통만이 아니었다. 그들의 말을 듣고 믿어준 사람들의 부재와 가족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의 등돌림은 그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정신적 고통을 주었다. 어느 날 갑자기 강제로 끌려가 감금된 그들은 외부세계와 철저히 단절돼 가족들에게조차 억울함을 말할 길이 없었다. 그리고 감옥에서 보낸 세월은 그 어떤 끈끈한 관계와 신뢰도 희미해질 만큼의 오랜 기간이었다. 그렇게 오랫동안 그들은 목소리를 낼 수 없었다.
반응형
'국내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서티브 - 남들보다 민감한 사람을 위한 섬세한 심리학 (0) | 2017.03.07 |
---|---|
37도의 비밀 - 최적의 건강상태를 위한 이상적인 체온 (0) | 2017.03.06 |
대한민국 마음 보고서 - 불확실한 시대, 우리를 위한 심리학 (0) | 2017.03.06 |
변신돼지 - 제6회 비룡소 문학상 대상 수상작 (0) | 2017.03.05 |
사향고양이의 눈물을 마시다/나의 선택이 세계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 (0) | 2017.03.03 |